spring data jpa6 OpenFeign을 통한 외부 API (With Spring Boot) 들어가기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도중 외부 API를 호출해야 하는 기능을 구현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RestTemplate, WebClient 등 다양하게 있겠지만, Spring Data Jpa와 비슷하게 인터페이스와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OpenFeign이라는 것이 눈길을 끌었다. Spring Data Jpa를 자주 사용했던 나로서는 매우 직관적이고 간단하여 좋다고 생각하였고, 이번엔 OpenFeign를 사용해보기로 하였다.이 글에선 OpenFeign에 대해 공부한 내용과 적용 과정을 간단하게 작성한 글이다.OpenFeign을 포함하여 다른 외부 API를 호출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길 바란다.https://jie0025.tistory.com/531 [.. 2024. 7. 13. JPA 영속성 컨텍스트는 어떻게 사용되는가 들어가기 예전에 JPA를 Spring Data JPA를 통해 다루면서 repository.save()를 할 시 반환 값으로 Primary Key 값이 포함된 객체를 반환하는 것에 의문이 생겼던 적이 있다. auto_increment 전략을 사용하기에 DB에 데이터가 들어간 이후에 Primary Key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DB에 접근하기 전 영속성 컨텍스트에 데이터가 있으면 DB를 조회하지 않고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데이터를 조회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저장 시 영속성 컨텍스트에 '쓰기 지연'이라는 기능 덕분에 INSERT 문을 모아두었다가 트랜잭션이 끝났을 때 한꺼번에 DB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다면 repository.save()를 할 경우 inesrt 문은 트랜잭션이 끝났을 때 실행될 텐데 어떻.. 2024. 1. 14. QueryDsl를 사용해보자.(With Spring boot 3.x.x, JPA) 들어가기 이 글은 Spring boot(3.0 이상), JPA에 QueryDSL을 사용하면서 새로 적용해 봤던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1. QueryDSL은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가?2. Spring boot에서 QueryDSL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Java 17, Spring boot 3.x.x를 기준)3. Spring Data JPA와 같이 사용하는 법4. DTO 객체로 값을 받는 법 본론1. QueryDSL은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가? JPA를 사용할 때, 편의성을 위해 Spring Data JPA를 종종 사용하였다. 하지만 복잡한 쿼리를 작성해야 할 때면 @Query 어노테이션을 통해 JPQL을 직접 작성하곤 하였다. 로직이 복잡할수록 쿼리 문자열은 길어지며 가독성은 떨어진다... 2023. 11. 29. JPA - 읽기 전용으로 데이터를 조회하여 성능 향상(메모리, 속도) 들어가기 JPA를 사용하면서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 1차 캐시 및 쓰기 지연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조회 기능만을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단순히 읽기 전용 기능으로 데이터를 조회만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의 수정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방식을 적용하면 두 가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바로 메모리와 속도의 최적화이다.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하는 읽기 전용 기능과 속도를 최적화하는 읽기 전용 기능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 글은 메모리와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읽기 전용 기능에 대해 작성한 글이다.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오는데, 이에 대한 것은 https://khdscor.tistory.com/110를 참고하길 바란다. 메모리 최적화 먼저 메모리 사용.. 2021. 9. 18. JPA - 프록시와 연관관계(즉시로딩, 지연로딩, N + 1 문제) 들어가기 JPA는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객체를 가져올 때 우선 영속성 컨텍스트에 가져오게 된다. 그렇다면 그 객체와 연관된 객체를 가져올 때 어떻게 가져오는가?경우는 두 가지가 있다.첫 번째는 그 연관된 객체도 미리 영속성 컨텍스트에 올려놓는 것이다. 이 방식을 즉시 로딩이라 한다.두 번째는 그 연관된 객체를 사용하는 시점에 가져오는 것이다. 이 방식을 지연 로딩이라 한다.이 글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로딩 방식에 대해서 '프록시 객체'와 함께 설명할 것이다.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오는데, 이에 대한 것은 https://khdscor.tistory.com/110를 참고하길 바란다. 본론 지연 로딩을 이용하기 위해선 실제 객체 대신에 데이터 베이스 조회를 지연할 수 있는 가짜 객체가 필요.. 2021. 7. 19. JPQL 개념과 스프링 데이터 JPA 쿼리메서드 이용 JPA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구현할 때 스프링 데이터 JPA를 이용하고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작성하여 CRUD기능을 사용하였을 것이다. 우리는 JPA를 사용하기 위해 Repository를 만들고 CRUD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간단한 형식의 엔티티만을 가져올 뿐이지 특정 범위, 특정 경우, 특정 순서 등 복잡한 경우에 적용하기는 힘들다. 이러한 경우는 자세한 sql문을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ORM은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개발하므로 검색을 위한 sql문도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해야 하기에 JPQL을 사용한다. 스프링 데이터 JPA에서는 복잡한 쿼리를 쿼리 메서드를 이용하여 JPQL을 직접 짜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JPQL에 대해서는 간단한 설명과 파라미터 바인딩에 대해서만 설명.. 2021. 6.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