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fier1 springboot service 계층: 인터페이스와 여러 구현체로 구현(공통 메서드 분리) 들어가기 이 글은 개인적인 생각을 포함하여 작성한 글이다. 나는 프로젝트를 할 때 항상 service 계층에 class 하나로만 구현을 하였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한 프로젝트에서는 service 명칭으로 된 interface와 serviceImpl 명칭으로 된 class 구현체로 구현되어 있었다. 이는 디자인 패턴 중 전략 패턴을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게 과연 의미가 있나 싶어서 지금까지 적용하지 않았었는데 마침 리펙토링을 하면서 한번 알아보고 적용해 보기로 하였다. 이 글에서는 impl을 쓰는 이유와 간단 적용, 인터페이스와 여러 구현체일 때 공통 메서드 처리 등을 다룰 예정이다. Service 계층에서 인터페이스와 구현체의 구분은 왜 생긴 것인가? 처음 인터넷에 'spring serv.. 2023. 7.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