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TO2

QueryDsl를 사용해보자.(With Spring boot 3.x.x, JPA) 들어가기 이 글은 Spring boot(3.0 이상), JPA에 QueryDSL을 사용하면서 새로 적용해 봤던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1. QueryDSL은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가?2. Spring boot에서 QueryDSL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Java 17, Spring boot 3.x.x를 기준)3. Spring Data JPA와 같이 사용하는 법4. DTO 객체로 값을 받는 법  본론1. QueryDSL은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가? JPA를 사용할 때, 편의성을 위해 Spring Data JPA를 종종 사용하였다. 하지만 복잡한 쿼리를 작성해야 할 때면 @Query 어노테이션을 통해 JPQL을 직접 작성하곤 하였다. 로직이 복잡할수록 쿼리 문자열은 길어지며 가독성은 떨어진다... 2023. 11. 29.
Springboot With Redis: 데이터 Dto 저장, 조회 시 직렬화 문제 및 Enum을 활용한 갱신 들어가기 최근 프로젝트 리펙토링을 진행하면서 성능 향상이라는 부분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성능 향상을 이루는 방법은 코드 리펙토링, 쿼리 최적화, 인덱스 사용 등 다양하게 있는데 항상 거론되는 것 중 하나가 캐시(cache)였다. '캐시'하면 떠오르는 것은 Redis라는 것이었고 프로젝트에도 적용해 보자고 생각하여 공부 및 실습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패스트 캠퍼스에서 Redis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강의 내용을 듣고 관련 코드를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전에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궁금함이 생겼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참고하기 위해 인터넷을 뒤지다가 GenericJackson2JsonRedisSerializer()을 적용함에 있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글에서는 .. 2023.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