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프리티어1 AWS RDS를 통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springboot 연동 들어가기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간단히 로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h2를 사용하였고 배포까지 진행할 때는 배포서버 내부에 mariaDB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삽입하였다. 그렇다면 aws 프리티어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어떻게할까? 프리티어로 진행한 서버는 내부 용량이 적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크기도 작을 수 밖에 없고 한눈에 데이터들을 파악하기도 힘들다. 그리고 배포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이럴때 유용한 것이 aws rds이다. aws rds는 aws에서 rds 전용 서버를 제공을 해주는 서비스이다. 즉, 배포서버에서 데이터를 rds 서버로 저장을 시켜서 데이터를 굳이 배포서버에 저장할 필요가 없어진다. 배포서.. 2023. 2. 22. 이전 1 다음